패션에 대하여 어원의유래, 의미, 의미의 다양성, 역사, 종류로 나누어 살펴보겠습니다.
패션 어원의 유래
패션(Fashion)의 유래는 만드는 행위를 뜻하는 가진 라틴어 '팩티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오늘 날 패션의 의미는 유행, 습관, 생활방식 자체를 뜻합니다.
패션의 의미
패션이란 신체에 착장하는 옷이나 슈즈, 금속장신구 등을 활용하여 본인의 사회적인 지위나 자신이 소속된 집단과 가치관을 나타내는 것을 뜻합니다. 넓은 범위로는 패션은 복장 스타일, 유행, 산업의 한 분야를 지칭하기도합니다.
패션의 의미의 다양성
프랑스에서는 '모드'라는 단어로 패션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의 시작은 프랑스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주로 귀족들 사이에서 자신의 아름다움과 우아함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하였습니다. 영어에서 모드라는 단어는 '유행'을 뜻하며 프랑스 단어 모드와는 조금 다른 개념을 가집니다.
패션을 정의하는 방식은 다양합니다. 예를들어 '올해 여름 패션, 1980년대 패션'에서 모두 패션은 '스타일'을 의미합니다.한편으로 패션은 '유행, 트렌드'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한 시대에 많은 사람들이 착용하고 선호하는 유행 스타일은 사라졌다가 또다른 새로운 스타일 유행하기를 반복하며 이어지는데, 유행이 지난 스타일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고 다시 등장하기도하는 흐름을 보입니다.
패션은 스타일과는 무관한 의미로 산업의 한 분야로 기술적인 의복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패션의 역사
오늘 날 서구 패션의 시작은 19세기 디자이너 찰스 프레데릭 워스로 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찰스 프레데릭 워스는 최초로 의복에 브랜드 라벨을 새겨 판매한 디자이너 입니다. 당시 많은 양장점들은 고객의 지시에 맞춘 옷을 제작하였는데, 찰스 프레데릭 워스는 기존 방식과는 달리 고객의 신체와 분위기에 맞춰 의상을 제안하는 방식을 처음으로 도입하여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의상을 고객에게 제안하기 위해서는 샘플이 필요하였는데, 이를 위해 의상을 스케치한 카탈로그를 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의상 스케치 및 페인팅을 위한 작업자들을 고용하였습니다. 카탈로그에 그려진 의상을 고객이 선택하면 고객에 체형에 맞게 재단 및 봉제하여 제작하였습니다.
패션의 종류
프레타포르테(기성복)
프레타포르테는 오뜨 꾸뛰르 보다는 대중적인 의상을 뜻합니다. 고객 한 사람에게 맞춰진 의상은 아니나 소재, 재단, 봉제에 있어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의상보다는 더욱 신중하게 제작이 되기 때문에 가격이 비쌉니다. 흔히 말하는 명품의상을 뜻합니다. 값이 비싸고 대량으로 제작되지 않는 이유는 브랜드의 희소가치와 하이패션으로써의 위치를 독점하기 위해서 입니다.
기성복 브랜드는 1년에 두번 파리, 뉴욕, 밀라노에서 컬렉션을 통해 의상을 선보입니다. 이 기간을 패션 위크라고 부릅니다. 시즌 및 카테고리는 Spring/Summer(봄/여름), Fall/Winter(가을/겨울), Resort(리조트), Swim wear(수영복)으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오뜨 꾸뛰르
오뜨 꾸뛰르는 '고급봉제'를 뜻하는 프랑스어로, 특정 고객 한 사람에게 맞춤 제작된 의상을 뜻합니다. 이 방식은 주로 1950년대 까지 진행되었습니다. 사용되는 원단은 고가 및 고품질의 소재를 사용해 제작되며 섬세한 마감과 디테일에 주의하여 봉제됩니다. 주로 손으로 작업하기 때문에 제작시간이 많이 소요됩니다. 그러나 소요되는 시간보다도 의복의 완성도 및 외적인 아름다움이 우선시됩니다.
오늘 날의 오뜨 꾸뛰르는 맞춤제작의 의미보다는 패션하우스의 고유한 예술성, 브랜드 상징성을 나타내는 작움으로써의 컬렉션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실용성 및 수익성은 낮으나 브랜드의 고유가치를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중패션
대량생산 중저가로 생산되는 의류로 오늘날 많은 패션기업들이 의존하고 있는 의류 생산 방식입니다. 대중 시장의 고객층은 매우 다양하며, 생산되는 제품은 유행과는 무관한 작업을 위한 착장부터 하이패션에서 앞서 선보인 트렌드를 따라 유사한 스타일로 제작되기도 합니다.
대중패션의 제작단계
대부분의 대중패션기업은 기획 초기 단계에 하이패션이 제안하는 유행 스타일의 흐름을 파악합니다. 이를 참고하여 유행이 어느정도 대중에게 확산될 시기에 맞추어 해당스타일에 맞는 의상들을 기획하고 샘플 작업을 진행합니다. 패턴사와 디자이너의 협업을 통하여 수차례 샘플작업을 거쳐 생산이 채택된 제품은 소재 생산에 들어갑니다.
판매가는 저렴하면서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저렴한 품질의 원단을 사용합니다. 제품에 사용될 원부자재 생산이 완료되면 제품을 최종 작업하는 생산국의 공장으로 전달 됩니다. 원부자재 규모가 크기 때문에 주로 화물선박, 비행기에 싣어 공장에 입고 됩니다.
가공비용역시 단가를 낮추기 위해 최대한 빠르고 단순하게 작업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합니다. 원부자재가 공장에 입고되면 채택된 스타일과 동일한 스타일을 사이즈별로 나누어 봉제작업에 들어갑니다.
봉제가 완료된 제품은 박스에 담아 다시 화물선박 또는 비행기에 싣어 판매가 이루어질 국가로 전달됩니다. 제품들은 브랜드 개인샵, 백화점, 마트 등 다양하게 유통되어 판매가 이루어집니다.
오늘날 의복의 대량생산화가 이루어지기까지 인구 증가, 전쟁, 영국의 산업혁명 등 다양한 히스토리가 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이에 대한 조금 더 자세한 내용을 가지고 다루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패션 Fash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션 브랜드 : 이브 생 로랑(Yves Saint Laurent) (0) | 2024.04.18 |
---|---|
패션 브랜드 : 크리스찬 디올 (0) | 2024.04.18 |
패션 브랜드 : 샤넬 (1) | 2024.04.18 |
미국과 유럽의 패션에 대하여 (0) | 2024.04.17 |
동양 패션에 대하여 (0) | 2024.04.17 |